[부동산 동향] ’14. 3월 전국 땅값 0.20%, 토지거래량은 25.6% 상승

 

14.3월 전국 땅값 0.20% 상승

 

지가 보도자료_2014_2.월

’14.3월 지가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14.3월 전국 지가가 전월(’14.2) 대비 0.20% 상승하여 ‘10.11월 이후 41개월 연속 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ㅇ 이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08.10월) 대비 1.47% 높은 수준이다.

 

< 전국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13.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4.1월

2월

3월

0.13

0.13

0.11

0.02

0.001

0.08

0.15

0.16

0.15

0.11

0.14

0.20

 

< 지역별 지가변동률(%) >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지방

'14.3월 지변율(전월비)

0.20

0.22

0.29

0.22

0.14

0.17

고점(’08.10)대비

1.47

0.33

∆1.17

1.54

1.82

3.60

 

   

1

 

행정구역별

 

 

□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0.22%, 지방권은 0.17% 각각 상승하였다.

 

* 수도권:0.16%(13.11월)0.15%(12월)0.11%(14.1월)0.14%(2월)0.22%(3월)

* 지방권:0.15%(13.11월)0.16%(12월)0.10%(14.1월)0.14%(2월)0.17%(3월)

 

서울시(0.29%)는 ’13.9월부터 7개월 연속 상승하였으며, 25개 자치구 모두가 상승하였다.

 

*서울:0.15%(13.9)→0.21%(10월)→0.21%(11월)0.19%(12월)→0.19%(14.1)→0.21%(2월)→0.29%(3월)

 

서울 강남구(0.510%)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매수 증가로 가격상승폭이 커서 전국 시․군․구 중에서 가장 많이 올랐으며,

 

ㅇ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역 내의 지속적인 개발에 따라 세종시(0.505%)가 그 뒤를 이었다.

<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 >

순위

지역

변동률(%)

변 동 사 유

1

서울특별시 강남구

0.510

신사동, 역삼동, 청담동에 소재한 상업용부동산의 상승세

2

세종특별자치시

0.505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역 내의 지속적인 개발

3

전라남도 나주시

0.469

광주전남혁신도시 공정률 진척(95%), 공동주택 입주시작(‘14.2~)

4

경기도 부천오정구

0.437

고강뉴타운 해제(‘14.2), 도로개설(’14.4월말) 영향에 따른 거래증가

5

부산광역시 서구

0.422

서대신3,7구역 재개발사업의 순조로운 진행에 따른 기대감

 

반면, 충남 천안서북구(∆0.108%)는 국제 비지니스파크 개발사업 무산에 따른 영향이 지속됨에 따라 가장 많이 하락하였다.

 

< 지가변동률 하위 5개 지역 >

순위

지역

변동률(%)

변 동 사 유

1

충청남도천안서북구

∆0.108

국제비지니스파크 개발사업 무산(‘12.11)에 따른 영향 지속

2

경기도 광명시

∆0.103

광명시흥 보금자리 관련 지역 사업축소 우려

3

인천광역시 옹진군

∆0.033

서해 NLL 접경지역인 백령면, 대청면 등의 지가 하락

4

충청남도천안동남구

∆0.010

주거용 및 상업용 부동산이 경기불황과 수요부족으로 하락

5

강원도 태백시

∆0.008

태백시의 역점사업인 오투리조트의 경영부실에 따른 영향 지속

 

 

2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0.26%) 계획관리지역(0.21%)가장 많이올랐으며, 여타 용도지역도 전월 대비 상승폭이 모두 증가하였다.

 

<용도지역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도시지역

非도시지역

주거

상업

공업

녹지

관리

농림

자연환경

보전

생산

계획

‘14.1

0.15

0.05

0.10

0.06

0.03

0.01

0.11

∆0.01

0.01

2월

0.18

0.16

0.17

0.08

0.02

0.10

0.08

0.02

0.06

3월

0.26

0.10

0.20

0.13

0.09

0.15

0.21

0.05

0.06

 

 

□ 이용상황별로는 골프장 등 기타(0.45%) 주거용(0.21%)이 가장 많이 올랐다.

 

< 이용상황별(지목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농지

대지

임야

공장용지

기타

주거용

상업용

‘14.1

0.08

0.02

0.11

0.10

0.03

0.11

0.13

2월

0.10

0.04

0.13

0.15

0.11

0.07

0.15

3월

0.14

0.12

0.21

0.18

0.08

0.17

0.45

 

’14.3월 토지거래량

 

전체 토지거래량은 총 227,128필지, 173,776천㎡로 전년 동월(180,763필지, 175,003천㎡) 대비 필지수로는 25.6% 증가한 반면, 면적 기준으로는 0.7% 감소하였다.

 

* 전월과 비교 시 필지수는 10.8% 증가, 면적은 18.4% 증가

 

ㅇ 세부 지역별 토지거래량(필지수 기준)을 보면 서울(56.6%)포함한 수도권의 거래량(43.2%)지방의 거래량(17.7%) 보다 증가폭높았다.

 

- 이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어 주거용 건물에 대한 거래량이 높은 것에 기인한다.

 

* 수도권 전체 거래량(80,765필지) 중 주거용 건물의 거래량은 66%(53,022필지)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88,055필지, 161,985천㎡로 전년 동월(81,799필지, 166,052천㎡) 대비 필지수 기준으로는 7.6% 증가한 반면, 면적 기준으로는 2.4% 감소하였다.

 

*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를 의미하며, 3월 전체 토지거래량의 필지수 38.8%, 면적 93.2%를 차지

 

* 전월과 비교 시 필지수는 14.4% 증가, 면적은 19.8% 증가

 

   

< 월간 토지거래량 추이(필지수 기준) >

 

EMB00000ea422ef

 

 

 

Posted by 마케팅 여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