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보] 3/4분기 상업용빌딩 투자수익률 소폭 하락
- 공실률 상승과 자산가치 하락 영향으로 수익률 하락세 -
◈ (오피스빌딩) 투자수익률 0.21%*로 전분기대비 1.52%p 하락
* 투자수익률(0.21%) = 소득수익률(1.12%) + 자본수익률(-0.91%)
- 공실률은 0.2%p 상승한 8.6%, 임대료는 0.1천원/㎡ 상승한 15.5천원/㎡
◈ (매장용빌딩) 투자수익률 0.47%*로 전분기대비 1.12%p 하락
* 투자수익률(0.47%) = 소득수익률(0.95%) + 자본수익률(-0.48%)
- 공실률은 0.1%p 하락한 9.2%, 임대료는 0.4천원/㎡ 상승한 45.5천원/㎡
□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서울과 6개 광역시, 경기 일부지역에 소재한 오피스빌딩 1,000동과 매장용빌딩 2,000동의 ’12년 3/4분기 투자수익률, 공실률, 임대료 등 투자정보를 조사·발표하였다.
* 조사기준일 : 투자수익률(’12.7.1~9.30), 공실률(’12.9.30기준), 임대료(’12.9.30기준)
** 대상 : (오피스) 58개 주요지역 6층 이상, 임대면적 50%이상 업무용 건물
(매장용) 87개 주요상권 3층 이상, 임대면적 50%이상 매장용 건물
[1] 투자수익률
□ ’12년 3/4분기 투자수익률※은 오피스빌딩이 0.21%(연간 투자수익률 : 5.35%)로 전분기대비 1.52%p 하락하였으며, 매장용빌딩은 0.47%(연간 투자수익률 : 5.32%)로 전분기대비 1.12%p 하락하였다.
※ 투자수익률 = 소득수익률+자본수익률
- 소득수익률 = 순영업소득(임대료 등 수입 - 영업경비)/기초자산가격
- 자본수익률 = 자산가격변동액/기초자산액
ㅇ 투자수익률 하락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국내 경제성장률 하향*이 전망되는 가운데 소비 및 투자심리 위축이 지속되고 있어 소득수익률과 자본수익률이 동시에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발표(‘12.10.11) : 경제성장률 (3.0%→2.4%)
ㅇ임대료 수입 등의 소득수익률은 임대료가 보합내지 소폭 상승하였으나, 재산세 부과*에 따른 영업경비 증가로 인해 오피스빌딩과 매장용빌딩 모두 전분기대비 하락한 각각 1.12%, 0.95%로 나타났다.
* 2012년 재산세 납부기간 : 건축물(7.16~7.31), 토지(9.16~10.2)
ㅇ 빌딩의 자산가치 변동을 나타내는 자본수익률은 전반적인 부동산시장 경기침체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으로 자산가치가 하락하며 오피스빌딩은 전분기대비 1.24%p 하락한 -0.91%, 매장용빌딩은 전분기대비 0.77%p 하락한 -0.48%로 나타났다.
※ 분기별 투자수익률은 3개월 동안의 보유기간 수익률임
※ 연간 수익률은 최근 4분기(2011년 4/4분기 ~ 2012년 3/4분기) 동안의 시간가중 수익률임
[2] 공실률
□ ’12.9.30일 기준 공실률은 오피스빌딩의 경우 평균 8.6%로 전분기(’12.6.30.기준)에 비해 0.2%p 상승하였으며, 매장용빌딩은 9.2%로 전분기 대비 0.1%p 소폭 하락하였다.
ㅇ 오피스빌딩은 신규공급 및 경기둔화 영향으로 ‘12년 1분기이후 연속 상승하였으며, 매장용빌딩은 전분기 대비 하락하였으나 변동폭은 미미한 수준이다.
※ 매분기 마지막 월/일 기준 공실률임
[3] 임대료
□ ’12.9.30일 기준 임대료(월세 기준)는 오피스빌딩의 경우 전분기대비 0.1천원/㎡ 상승한 평균 15.5천원/㎡이고, 매장용빌딩의 경우 전분기 대비 0.4천원/㎡ 상승한 평균 45.5천원/㎡로 나타났다.
※ 임대료는 오피스빌딩 3층이상, 매장용빌딩은 1층기준임
※ 매분기 마지막 월/일 기준 임대료임
[4] 기타 지역별 추계결과 등
□ 지역별로 살펴보면 오피스 빌딩의 경우 투자수익률은 전 지역이 하락하였고, 공실률은 서울과 대구를 제외하고 상승하였으며,
임대료는 대전을 제외하고 소폭 상승하였다.
ㅇ 매장용빌딩은 투자수익률이 전 지역에서 하락한 가운데 공실률은 서울, 인천, 광주를 제외하고 하락하였으며 임대료는 대구와 성남이 소폭 하락한 반면 그 외 지역은 소폭 상승하였다.
□ 한편 ‘12년 4/4분기에는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과 경기침체에 따른 기업의 구조조정을 위한 빌딩 매물증가와 사무공간 축소 영향으로 공실률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나, 투자수익률은 3/4분기 재산세 납부의 영업경비 부담이 해소되어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눈에 보이는 부동산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정보] 9월 전국 땅값 0.02% 상승, 서울시 3개월 연속 하락 (0) | 2012.11.01 |
---|---|
[부동산 정보] 새로운 주거트렌드에 맞는 새로운 주택건설기준 마련 (0) | 2012.10.18 |
[부동산 정보] 8월 전월세 거래량 전국 105.1천건, 전년동월대비 9.0% 감소 (0) | 2012.10.06 |
[부동산 정보] 8~10월중 전국 아파트 42,886호 집들이 예정 (0) | 2012.07.15 |
[부동산 정보] ‘스마트폰만 있으면, 전국 부동산정보가 내손에’- 스마트 국토정보 (0) | 201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