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이는 부동산 정책

[부동산 정보] '14. 5월 전국 땅값 0.15% 상승, 전월대비 상승폭 축소

마케팅 여행 2014. 7. 1. 17:01

’14.5월 전국 땅값 0.15% 상승, 전월대비 상승폭 축소

- 세종시가 2개월 연속 최고 상승률 기록

 

 

지가 보도자료_2014_2.월

 

 

’14.5월 지가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14.5월 전국 지가가 전월(’14.4) 대비 0.15% 상승하여 ’10.11월 이후 43개월 연속 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ㅇ 이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08.10) 대비 1.81% 높은 수준이다.

 

< 전국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13.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4.1월

2월

3월

4월

5월

0.11

0.02

0.001

0.08

0.15

0.16

0.15

0.11

0.14

0.20

0.18

0.15

 

< 지역별 지가변동률(%) >

구분

전국

 

 

 

 

지방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14.5월 지변율(전월비)

0.15

0.15

0.18

0.07

0.13

0.15

고점(’08.10)대비

1.81

0.66

△0.76

1.71

2.10

3.94

 

1

 

행정구역별

 

 

□ 권역별로는 수도권 0.15%, 지방권 0.15% 각각 상승하여 전월(수도권 0.18%, 지방권 0.18%)대비 상승폭이 소폭 축소되었다.

 

* 수도권:0.11%(14.1월)0.14%(2월)0.21%(3월)0.18%(4월)0.15%(5월)

* 지방권:0.10%(14.1월)0.14%(2월)0.17%(3월)0.18%(4월)0.15%(5월)

 

□ 14개 시․도는 상승폭이 축소된 가운데 광주․충남은 전월 대비 상승폭이 확대되었다.

 

* (광주) 0.04 → 0.16%, (충남) 0.12 → 0.13%

 

서울시(0.18%)의 경우 ’13.9월부터 9개월 연속 소폭 상승하였으며, 25개 자치구 모두가 상승하였다.

 

*서울:0.15%(‘13.9월)0.21%(11월)0.19%(14.1월)0.29%(3월)0.18%(5월)

 

ㅇ 지방은 세종시(0.491%)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대구․제주(0.25%), 부산․울산(0.18%), 경북(0.17%), 광주(0.16%) 등도 평균 상승률(0.15%)을 상회하고 있다.

세종시(0.491%)는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조기 착공에 대한 기대감과 3생활권 주변 지역의 상승으로 전월(0.613%)보다 상승폭은 둔화되었으나, 전월에 이어 전국 시․군․구 중에서 가장 많이 상승하였으며,

 

ㅇ 경상북도 예천군(0.425%)은 도청 신도시 조성 사업(공정률 72%)따른 이주자 택지 거래 증가로 그 뒤를 이었다.

 

<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 >

순위

지역

변동률(%)

변 동 사 유

1

세종특별자치시

0.491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조기착공에 대한 기대감과 3생활권(공정률80%) 인근 지역인 금남면 등에서 상승

2

경상북도 예천군

0.425

도청 신도시 조성 사업(공정률 72%) 및 제2논공단지 공사(공정률26%)로 이주자 택지 거래 활발해지며 상승

3

울산광역시 동구

0.402

현대중공업 대형 사업 수주('14.3)에 따른 부동산 경기 활성화가 상업지, 주거지 수요 증가로 이어지며 상승

4

충청북도 진천군

0.402

혁신도시 부지조성공사 진척(공정률98.9%), 공공기관 입주('14.5), 우석대 진천 캠퍼스 준공 등으로 상승

5

대구광역시 달성군

0.395

테크노폴리스(공정률95%)공동주택분양과공장신축으로상승, 사이언스파크(공정률30%)도 원활히 사업 진행되며 상승

 

반면, 가장 많이 하락한 지역 인천 남동구(△0.088%)로 기존 구도심인 간석동 상업지역의 가격 하락, 논현동 일대 다가구주택의 저가 급매물 증가 등이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 외 인천의 경우 부평구(△0.076), 강화군(△0.061)도 하락하는 가운데당월 지가변동률은 0.07%로 전국 평균 지가변동률보다 낮았다.

 

< 지가변동률 하위 5개 지역 >

순위

지역

변동률(%)

변 동 사 유

1

인천광역시 남동구

△0.088

기존 구시가지인 간석동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하락, 논현동 일대 다가구주택의 저가 급매물 증가로 하락

2

충청북도 영동군

△0.077

지속적인 농촌인구 감소추세와 맞물려 산간지역을 중심(상촌면, 용화면)으로 하락을 주도

3

인천광역시 부평구

△0.076

청라, 송도의 신규 아파트 공급으로 주거수요가 이전함에 따라 십정동, 산곡동 등 주거지역에서 하락 주도

4

인천광역시 강화군

△0.061

농한기 종료로 농지 거래량이 감소한 가운데 선원면 양사면 일대 농림지역을 중심으로 2개월째 하락

5

경기도 부천소사구

△0.047

부천뉴타운 해제 절차 진행('14.7 고시 예정)과 기존 노후 주거지 재개발 사업에 대한 불투명성 등으로 하락

2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용도지역별로는 계획관리지역(0.23%) 주거지역(0.17%)순으로 상승폭이 컸으며, 다른 용도지역도 전월과 비교하여 상승폭이 모두 증가하였다.

 

<용도지역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도시지역

非도시지역

주거

상업

공업

녹지

관리

농림

자연환경

보전

생산

계획

'14.3월

0.26

0.10

0.20

0.13

0.09

0.15

0.21

0.05

0.06

4월

0.21

0.14

0.21

0.12

0.14

0.13

0.20

0.09

0.07

5월

0.17

0.13

0.12

0.13

0.09

0.12

0.23

0.02

0.06

 

□ 이용상황별로는(0.16%), 상업용(0.15%) 순으로 상승폭이 컸으며, 다른 이용상황도 전월과 비교하여 상승폭이 모두 증가하였다.

 

< 이용상황별(지목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농지

대지

임야

공장용지

기타

주거용

상업용

'14.3월

0.14

0.12

0.21

0.18

0.08

0.17

0.45

4월

0.13

0.15

0.18

0.18

0.10

0.21

△0.03

5월

0.16

0.10

0.13

0.15

0.10

0.15

0.12

 

’14.5월 토지거래량

 

전체 토지거래량은 총 206,893필지, 176,878천㎡로 전년 동월(216,456필지,169,758천㎡) 대비 필지수 기준으로는 4.4% 감소하였고, 면적기준으로는 4.2% 증가하였다.

 

* 전월과 비교 시 필지수는 11.2% 감소, 면적은 0.8% 감소

 

(지역별) 17개 시․도 중 충북․경남․대전 등 5개 시․도만 거래량 증가한 반면 울산․대구․강원 등 12개 시․도감소하였으며, 특히 울산(△35.6%)은 감소폭이 가장 컸다.

(용도지역별) 자연환경지역, 주거지역, 공업지역 등은 거래량이 줄어든 반면 미지정, 개발제한구역, 녹지지역 등은 증가하였다.

 

ㅇ (이용상황별) 대지, 공장용지가 거래량이 줄어든 반면, 골프장 등 기타, 답, 전은 거래량이 증가하였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86,003필지, 165,436천㎡로 전년 동월(83,614필지, 158,064천㎡) 대비 필지수 기준으로는 2.9% 증가하였고, 면적기준으로도 4.7% 증가하였다.

 

*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를 의미하며, 5월 전체 토지거래량의 필지수 41.6%, 면적 93.5%를 차지

 

* 전월과 비교 시 필지수는 5.9% 감소, 면적은 0.6% 감소

 

< 월간 토지거래량 추이(필지수 기준) >

EMB000014b02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