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부동산 정보] 2012년 5월 땅값 0.11% 상승, 안정세 유지...
[부동산 정책][부동산 정보] 2012년 5월 땅값 0.11% 상승, 안정세 유지...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12. 5월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11% 상승하였다고 밝혔다.
현재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08.10월) 대비 0.54%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 지가변동률
(단위:%)
구분 | 전국 | 수도권 | 서울 | 인천 | 경기 | 지방 |
'12. 5월 지변율 | 0.11 | 0.10 | 0.09 | 0.06 | 0.11 | 0.14 |
'12년 누적 | 0.53 | 0.46 | 0.37 | 0.32 | 0.57 | 0.66 |
고점대비(’08.10) | -0.54 | -1.39 | -3.25 | 0.15 | 0.18 | 1.03 |
토지거래량은 총 185,679필지, 173,922천㎡로 전년 동월 대비 필지수와 면적 기준으로 각 6.3%,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3년간 동월 평균 토지거래량(179천필지)대비 3.5% 증가하였으며, 전월 대비 필지수 기준 1.8% 증가, 면적 기준 5.6% 감소하였다.
순수토지거래량은 총 84,192*필지, 164,108천㎡로서 전년 동월 대비 필지수 기준 1.4% 증가, 면적 기준 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3년간 동월 평균 순수토지거래량(79천필지)대비 6.4% 증가하였으며, 전월대비 필지수 기준 2.8% 증가, 면적 기준 6.2% 감소.
《 '12.5월 지가변동률(전월비 기준) 》
지역별로는 서울 0.09%, 인천 0.06%, 경기 0.11%이며, 지방은 0.10~0.16%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군․구별로는 충남 연기군, 경기 하남시, 전남 여수시, 대구 동구 등의 순으로 지가상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률 상위 5개 지역
순위 | 행정구역명 | 변동률 (%) | 변 동 사 유 |
1 | 충청남도 연기군 | 0.555 | 행정중심복합도시 접근성 개선(세종로 개통)및 정부청사(국무 총리실 포함) 1단계 1구역 완공(4월5일) 등이 지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세종시 내 도시 기반시설(명학산업단지 착공, 간선도로 확충)의 조성에 따른 지가수준은 상승 |
2 | 경기도 하남시 | 0.391 | 보금자리주택 진행, 감일지구의 지구계획승인고시, 감북동 제4차 보금자리주택지구지정, 신장동 현안사업2지구 복합쇼핑센터의 본격적 개발 등 개발사업 영향 |
3 | 전라남도 여수시 | 0.353 | 여수세계박람회 개최에 따른 주변지역의 지가상승과 경도특구개발사업, 해양경찰학교 건립사업으로 지가수준 상승 |
4 | 대구광역시 동구 | 0.244 | 혁신도시, 이시아폴리스 등 개발사업,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개발협약체결에 따른 기대감 |
5 | 대구광역시 달성군 | 0.233 | 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조성사업, 세천 토지구획정리사업, 대구사이언스 파크 조성사업에 따른 개발 기대감 |
용도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은 녹지지역(0.13%), 상업지역(0.12%), 비도시지역은 계획관리지역(0.15%) 등 전체적으로 전월과 유사하며,
이용상황별로는 전(0.16%), 답(0.16%), 상업용(0.13%), 공장용(0.12%), 주거용(0.09%) 등 전월과 비슷한 수준의 상승폭을 나타내었다.
《 ’12. 5월 토지거래량(전년 동월비 기준) 》
’12. 5월 토지거래량은 총 185,679필지, 173,922천㎡로서 전년 동월과 비교하여 ① 필지수 6.3% 감소, ② 면적 2.4% 감소하였으며, 최근 3년간 동월 평균거래량(179천필지)보다 3.5% 증가한 수준이다.
* 전월(’12.4월)대비 필지수 1.8% 증가, 면적 5.6% 감소
순수토지*거래량은 총 84,192필지, 164,108천㎡로서 전체 거래량 중 필지수 기준 45.3%, 면적 기준 94.4%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년 동월과 비교하여 ① 필지수 1.4% 증가, ② 면적 1.5% 감소, 최근 3년간 동월 평균거래량(79천필지)보다 6.4% 증가한 수준이다.
* 전월(’12.4월)대비 필지수 2.8% 증가, 면적 6.2% 감소
*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
용도지역별로는 개발제한구역(34.7%) 등의 거래량은 증가하였고, 주거지역(12.2%), 용도 미지정(7%), 농림지역(5.9%)등의 거래량은 감소하였다.
이용상황(지목)별로는 공장용지(26.9%)는 4개월 연속 거래량이 증가하였고 대지(10.8%)는 5개월 연속 거래량이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