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이는 마케팅

[마케팅] 2011년 국제경쟁력 평가에서 우리나라가 59개국중 22위를 기록...

마케팅 여행 2012. 4. 8. 20:55

2011년 국제경쟁력 평가에서 우리나라가 59개국중 22위를 기록... [마케팅][국제경쟁력]

2011년 국제경쟁력 평가에서 우리나라가 59개국중 22위를 기록... 마케팅

2011/05/20 23:29 수정 삭제

복사 http://blog.naver.com/cyd1617/130109289849

스위스 IMD의 2011년 국제경쟁력 평가(총 59개국)에서 우리나라는 전년(23위)*에 비해 1단계 상승 22위 기록

ㅇ ‘08년 이후 3년 연속 국가경쟁력이 상승(IMD 보도자료에서도 카타르, 터키와 함께 지속적으로 순위가 상승한 국가로 평가)

* (‘06)32위→(’07)29위→(‘08)31위→(’09)27위→(‘10)23위→(’11)22위

G20 국가 순위로는 전년도와 동일한 7위

05

06

07

08

09

10

11

- 국가경쟁력 순위

27

32

29

31

27

23

22

* 아시아ㆍ태평양 국가 중 순위

9

11

10

11

10

8

8

* 인구2천만명이상 국가 중 순위

10

14

12

13

11

9

9

* G20 국가 중 순위

8

7

7

* 97년(30위) → 99년(41위) → 01년(29위) → 03년(32위)

정부효율성(26→22위)기업 효율성(27→26위)순위 상승 주도

- 정부효율성 분야 중 공공재정, 재정정책, 사회적 여건 부문이, 기업효율성 분야 중 노동시장, 금융, 행태가치 부문이 상승

05

06

07

08

09

10

11

1. 경제성과

38

36

49

47

45

21

25

2. 정부효율성

28

41

31

37

36

26

22

3. 기업효율성

27

38

38

36

29

27

26

4. 인프라구축

20

22

19

21

20

20

20

경제성과 분야의 하락(21→25위)물가 및 국제투자 부문이 부진한데 기인

국가경쟁력을 계속 높이기 위해서는 약점으로 지적된 부분 대한 지속적인 개선노력이 필요

부진한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GDP 대비 유입액: 52→46위)노사관계의 생산성(56→53위) 증대

서비스업 수지(50위) 중소기업 효율성(52→49위) 부분 등에 대한 개선 필요

* IMD가 제시한 2011년 한국의 정책과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속적 성장, 인플레 완화와 노동자 생활 수준 향상, 공공부채 관리를 통한 재정건전성 향상, G20 서울 정상회의 아젠다의 이행, 공공부문의 공정성 및 투명성 제고 등

‘정부-기업 효율성간 격차’ 결과도 같이 공개하면서, 우리나라는 ‘08년 이후 정부효율성과 기업효율성이 균형있게 상승하여 효율성 격차가 상대적으로 작다고 평가

□ 주요 국가별로는 미국과 홍콩이 공동 1위를 차지하였고, 싱가폴 3위, 스웨덴 4위, 그리고 중국 19위, 일본 26위 기록

참고 2

2011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 순위

홍콩과 미국이 공동 1위를 차지하였으며, 싱가폴, 스웨덴, 스위스, 대만

뒤를 이음

아시아에서는 홍콩, 대만, 일본이 상승한 반면 싱가폴,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인도네시아 등 국가는 순위 하락

순위

국가

‘10 순위

변동

순위

국가

‘10 순위

변동

1

홍콩

2

(↑1)

31

아이슬란드

30

(↓1)

1

미국

3

(↑2)

32

인도

31

(↓1)

3

싱가폴

1

(↓2)

33

에스토니아

34

(↑1)

4

스웨덴

6

(↑2)

34

폴란드

32

(↓2)

5

스위스

4

(↓1)

35

스페인

36

(↑1)

6

대만

8

(↑2)

36

카자흐스탄

33

(↓3)

7

캐나다

7

(-)

37

인도네시아

35

(↓2)

8

카타르

15

(↑7)

38

멕시코

47

(↑9)

9

호주

5

(↓4)

39

터키

48

(↑9)

10

독일

16

(↑6)

40

포르투갈

37

(↓3)

11

룩셈부르크

11

(-)

41

필리핀

39

(↓2)

12

덴마크

13

(↑1)

42

이탈리아

40

(↓2)

13

노르웨이

9

(↓4)

43

페루

41

(↓2)

14

네델란드

12

(↓2)

44

브라질

38

(↓6)

15

핀란드

19

(↑4)

45

리투아니아

43

(↓2)

16

말레이시아

10

(↓6)

46

콜롬비아

45

(↓1)

17

이스라엘

17

(-)

47

헝가리

42

(↓5)

18

오스트리아

14

(↓4)

48

슬로바키아

49

(↑1)

19

중국

18

(↓1)

49

러시아

51

(↑2)

20

영국

22

(↑2)

50

루마니아

54

(↑4)

21

뉴질랜드

20

(↓1)

51

슬로베니아

52

(↑1)

22

한국

23

(↑1)

52

남아프리카공화국

44

(↓8)

23

벨기에

25

(↑2)

53

요르단

50

(↓3)

24

아일랜드

21

(↓3)

54

아르헨티나

55

(↑1)

25

칠레

28

(↑3)

55

불가리아

53

(↓2)

26

일본

27

(↑1)

56

그리스

46

(↓10)

27

태국

26

(↓1)

57

우크라이나

57

(-)

28

UAE

-

(-)

58

크로아티아

56

(↓2)

29

프랑스

24

(↓5)

59

베네수엘라

58

(↓1)

30

체코

29

(↓1)

‘11년 조사에서는 ’10년 58개국에 UAE가 추가되어 총 59개국을 조사

2011년 국제경쟁력 평가에서 우리나라가 59개국중 22위를 기록... 마케팅

2011/05/20 23:29 수정 삭제

복사 http://blog.naver.com/cyd1617/130109289849

스위스 IMD의 2011년 국제경쟁력 평가(총 59개국)에서 우리나라는 전년(23위)*에 비해 1단계 상승 22위 기록

ㅇ ‘08년 이후 3년 연속 국가경쟁력이 상승(IMD 보도자료에서도 카타르, 터키와 함께 지속적으로 순위가 상승한 국가로 평가)

* (‘06)32위→(’07)29위→(‘08)31위→(’09)27위→(‘10)23위→(’11)22위

G20 국가 순위로는 전년도와 동일한 7위

05

06

07

08

09

10

11

- 국가경쟁력 순위

27

32

29

31

27

23

22

* 아시아ㆍ태평양 국가 중 순위

9

11

10

11

10

8

8

* 인구2천만명이상 국가 중 순위

10

14

12

13

11

9

9

* G20 국가 중 순위

8

7

7

* 97년(30위) → 99년(41위) → 01년(29위) → 03년(32위)

정부효율성(26→22위)기업 효율성(27→26위)순위 상승 주도

- 정부효율성 분야 중 공공재정, 재정정책, 사회적 여건 부문이, 기업효율성 분야 중 노동시장, 금융, 행태가치 부문이 상승

05

06

07

08

09

10

11

1. 경제성과

38

36

49

47

45

21

25

2. 정부효율성

28

41

31

37

36

26

22

3. 기업효율성

27

38

38

36

29

27

26

4. 인프라구축

20

22

19

21

20

20

20

경제성과 분야의 하락(21→25위)물가 및 국제투자 부문이 부진한데 기인

국가경쟁력을 계속 높이기 위해서는 약점으로 지적된 부분 대한 지속적인 개선노력이 필요

부진한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GDP 대비 유입액: 52→46위)노사관계의 생산성(56→53위) 증대

서비스업 수지(50위) 중소기업 효율성(52→49위) 부분 등에 대한 개선 필요

* IMD가 제시한 2011년 한국의 정책과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속적 성장, 인플레 완화와 노동자 생활 수준 향상, 공공부채 관리를 통한 재정건전성 향상, G20 서울 정상회의 아젠다의 이행, 공공부문의 공정성 및 투명성 제고 등

‘정부-기업 효율성간 격차’ 결과도 같이 공개하면서, 우리나라는 ‘08년 이후 정부효율성과 기업효율성이 균형있게 상승하여 효율성 격차가 상대적으로 작다고 평가

□ 주요 국가별로는 미국과 홍콩이 공동 1위를 차지하였고, 싱가폴 3위, 스웨덴 4위, 그리고 중국 19위, 일본 26위 기록

참고 2

2011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 순위

홍콩과 미국이 공동 1위를 차지하였으며, 싱가폴, 스웨덴, 스위스, 대만

뒤를 이음

아시아에서는 홍콩, 대만, 일본이 상승한 반면 싱가폴,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인도네시아 등 국가는 순위 하락

순위

국가

‘10 순위

변동

순위

국가

‘10 순위

변동

1

홍콩

2

(↑1)

31

아이슬란드

30

(↓1)

1

미국

3

(↑2)

32

인도

31

(↓1)

3

싱가폴

1

(↓2)

33

에스토니아

34

(↑1)

4

스웨덴

6

(↑2)

34

폴란드

32

(↓2)

5

스위스

4

(↓1)

35

스페인

36

(↑1)

6

대만

8

(↑2)

36

카자흐스탄

33

(↓3)

7

캐나다

7

(-)

37

인도네시아

35

(↓2)

8

카타르

15

(↑7)

38

멕시코

47

(↑9)

9

호주

5

(↓4)

39

터키

48

(↑9)

10

독일

16

(↑6)

40

포르투갈

37

(↓3)

11

룩셈부르크

11

(-)

41

필리핀

39

(↓2)

12

덴마크

13

(↑1)

42

이탈리아

40

(↓2)

13

노르웨이

9

(↓4)

43

페루

41

(↓2)

14

네델란드

12

(↓2)

44

브라질

38

(↓6)

15

핀란드

19

(↑4)

45

리투아니아

43

(↓2)

16

말레이시아

10

(↓6)

46

콜롬비아

45

(↓1)

17

이스라엘

17

(-)

47

헝가리

42

(↓5)

18

오스트리아

14

(↓4)

48

슬로바키아

49

(↑1)

19

중국

18

(↓1)

49

러시아

51

(↑2)

20

영국

22

(↑2)

50

루마니아

54

(↑4)

21

뉴질랜드

20

(↓1)

51

슬로베니아

52

(↑1)

22

한국

23

(↑1)

52

남아프리카공화국

44

(↓8)

23

벨기에

25

(↑2)

53

요르단

50

(↓3)

24

아일랜드

21

(↓3)

54

아르헨티나

55

(↑1)

25

칠레

28

(↑3)

55

불가리아

53

(↓2)

26

일본

27

(↑1)

56

그리스

46

(↓10)

27

태국

26

(↓1)

57

우크라이나

57

(-)

28

UAE

-

(-)

58

크로아티아

56

(↓2)

29

프랑스

24

(↓5)

59

베네수엘라

58

(↓1)

30

체코

29

(↓1)

‘11년 조사에서는 ’10년 58개국에 UAE가 추가되어 총 59개국을 조사

스위스 IMD의 2011년 국제경쟁력 평가(총 59개국)에서 우리나라는 전년(23위)*에 비해 1단계 상승 22위 기록

ㅇ ‘08년 이후 3년 연속 국가경쟁력이 상승(IMD 보도자료에서도 카타르, 터키와 함께 지속적으로 순위가 상승한 국가로 평가)

* (‘06)32위→(’07)29위→(‘08)31위→(’09)27위→(‘10)23위→(’11)22위

G20 국가 순위로는 전년도와 동일한 7위

05

06

07

08

09

10

11

- 국가경쟁력 순위

27

32

29

31

27

23

22

* 아시아ㆍ태평양 국가 중 순위

9

11

10

11

10

8

8

* 인구2천만명이상 국가 중 순위

10

14

12

13

11

9

9

* G20 국가 중 순위

8

7

7

* 97년(30위) → 99년(41위) → 01년(29위) → 03년(32위)

정부효율성(26→22위)기업 효율성(27→26위)순위 상승 주도

- 정부효율성 분야 중 공공재정, 재정정책, 사회적 여건 부문이, 기업효율성 분야 중 노동시장, 금융, 행태가치 부문이 상승

05

06

07

08

09

10

11

1. 경제성과

38

36

49

47

45

21

25

2. 정부효율성

28

41

31

37

36

26

22

3. 기업효율성

27

38

38

36

29

27

26

4. 인프라구축

20

22

19

21

20

20

20

경제성과 분야의 하락(21→25위)물가 및 국제투자 부문이 부진한데 기인

국가경쟁력을 계속 높이기 위해서는 약점으로 지적된 부분 대한 지속적인 개선노력이 필요

부진한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GDP 대비 유입액: 52→46위)노사관계의 생산성(56→53위) 증대

서비스업 수지(50위) 중소기업 효율성(52→49위) 부분 등에 대한 개선 필요

* IMD가 제시한 2011년 한국의 정책과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속적 성장, 인플레 완화와 노동자 생활 수준 향상, 공공부채 관리를 통한 재정건전성 향상, G20 서울 정상회의 아젠다의 이행, 공공부문의 공정성 및 투명성 제고 등

‘정부-기업 효율성간 격차’ 결과도 같이 공개하면서, 우리나라는 ‘08년 이후 정부효율성과 기업효율성이 균형있게 상승하여 효율성 격차가 상대적으로 작다고 평가

□ 주요 국가별로는 미국과 홍콩이 공동 1위를 차지하였고, 싱가폴 3위, 스웨덴 4위, 그리고 중국 19위, 일본 26위 기록

순위

국가

‘10 순위

변동

순위

국가

‘10 순위

변동

1

홍콩

2

(↑1)

31

아이슬란드

30

(↓1)

1

미국

3

(↑2)

32

인도

31

(↓1)

3

싱가폴

1

(↓2)

33

에스토니아

34

(↑1)

4

스웨덴

6

(↑2)

34

폴란드

32

(↓2)

5

스위스

4

(↓1)

35

스페인

36

(↑1)

6

대만

8

(↑2)

36

카자흐스탄

33

(↓3)

7

캐나다

7

(-)

37

인도네시아

35

(↓2)

8

카타르

15

(↑7)

38

멕시코

47

(↑9)

9

호주

5

(↓4)

39

터키

48

(↑9)

10

독일

16

(↑6)

40

포르투갈

37

(↓3)

11

룩셈부르크

11

(-)

41

필리핀

39

(↓2)

12

덴마크

13

(↑1)

42

이탈리아

40

(↓2)

13

노르웨이

9

(↓4)

43

페루

41

(↓2)

14

네델란드

12

(↓2)

44

브라질

38

(↓6)

15

핀란드

19

(↑4)

45

리투아니아

43

(↓2)

16

말레이시아

10

(↓6)

46

콜롬비아

45

(↓1)

17

이스라엘

17

(-)

47

헝가리

42

(↓5)

18

오스트리아

14

(↓4)

48

슬로바키아

49

(↑1)

19

중국

18

(↓1)

49

러시아

51

(↑2)

20

영국

22

(↑2)

50

루마니아

54

(↑4)

21

뉴질랜드

20

(↓1)

51

슬로베니아

52

(↑1)

22

한국

23

(↑1)

52

남아프리카공화국

44

(↓8)

23

벨기에

25

(↑2)

53

요르단

50

(↓3)

24

아일랜드

21

(↓3)

54

아르헨티나

55

(↑1)

25

칠레

28

(↑3)

55

불가리아

53

(↓2)

26

일본

27

(↑1)

56

그리스

46

(↓10)

27

태국

26

(↓1)

57

우크라이나

57

(-)

28

UAE

-

(-)

58

크로아티아

56

(↓2)

29

프랑스

24

(↓5)

59

베네수엘라

58

(↓1)

30

체코

29

(↓1)

‘11년 조사에서는 ’10년 58개국에 UAE가 추가되어 총 59개국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