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조사 / 리서치] 알기 쉬운 통계 : 기술 통계와 추리(추측) 통계
알기 쉬운 통계 : 기술 통계와 추리(추측) 통계 [조사 / 리서치][마케팅]
누구나 통계는 필요하다는 것,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안다.
일기예보의 온도, 비올 확률과 같이 간단한 것에서 부터, 주식 투자를 위한 다양한 주가 관련 지수, 기업에서의 고객 분석 및 수요예측, 이자율, 통화량과 관련된 복잡한 의사결정에도 통계는 빠지지 않는다.
사회의 변화는 빠르고, 이러한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이 핵심이 된다.의사결정을 하려면 자료와 정보가 필요하고, 이를 수집한 다음에정리, 분석, 예측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바로 이것이 통계인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단 통계하면, "어렵다", "복잡하다", "난해하다" 등의 반응을 보인다.
그래서,리서치에 필요한 통계를알기 쉬운정도만살펴보려고 하며, 우선적으로 통계의 분류부터 보겠다.
통계를 크게 나누면 기술통계와 추리통계로 나눈다.
기술통계는 표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특성을 뽑아내는 통계를 말하는 것으로써,
도수분포표, 평균, 표준편차, 분산과 같은 방법 등을 이용해서 사회 및 경제 상황 등을 설명하는 것이다.
실례를 들면, 인구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이용해 평균 연령, 소득편차를 구하고, 이것을 표, 차트, 그래프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추리통계는 추측 통계라고도 하는데, 표본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모집단의 어떤 특성에 대해 추측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일부분으로 전체를 추측한다는 의미로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면, 선거여론조사를 이용하여 후보들의 지지도를 분석함으로써 선거가 끝나서 결과를 발표하기 전에 당선 가능성을 추측하는 것과 같다.
그리고, 공기오염도를 파악한다면 모든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면 정확하나 그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표본 지역을 추출하고, 시간과 측정 방법 등을 결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공기오염도를 분석하여 공표하는 것이다.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자료와 정보의 수집, 이를 분석하는 통계가 필요한데,
이 때에 필요한 통계는 기술통계를 기반으로 하여 추측통계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우리가 사회 현상을 파악하고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알아야 할 것은 기술통계와 추측통계 모두를 알아야만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